알레산드로 파르네세(1545)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나사우의 엥겔베르트 2세윌리엄 드 크루아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스페인령 네덜란드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사보이아의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파르마의 마르가레테페르난도 알바레스 데 톨레도루이스 데 레케센스 이 주니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파르마-피아첸차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페테르 에른스트 1세 폰 만스펠트-보더로트오스트리아의 에른스트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페드로 엔리케스 데 아세베도오스트리아의 알브레히트 7세[A]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A]페르난도 데 아우스트리아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프란시스코 데 멜로마누엘 드 모라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빌헬름돈 후안 호세 데 아우스트리아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루이스 데 베나비데스 카리요프란시스코 데 모라이니고 멜코르 데 벨라스코후안 도밍고 데 주니가 이 폰세카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카를로스 데 아라곤 데 구레아파르마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오토네 엔리코 델 카레토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데 아구르토
제29대제30대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2세이시도로 데 라 쿠에베 이 베나비데스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
사보이아의 외젠비리히 필립 폰 다운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엘리자베트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하라흐-로라우
제35대제36대제37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마리아 크리스티나카를 루트비히
카를 알렉산더알베르트 카지미어
[A]: 1598년 5월 6일에서 1621년 7월 13일까지 일시적으로 총독이 아니라 주권자였다.


파르마 공작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Alessandro Farnese, Duca di Parma
파일:Vaenius_-_Alexander_Farnese.png
이름알레산드로 파르네세
(Alessandro Farnese)
출생1545년 8월 27일
교황령 로마
사망1592년 12월 3일 (향년 47세)
프랑스 왕국 아라스
재위파르마 피아첸차 공국의 공작
1586년 9월 15일 ~ 1592년 12월 3일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총독
1578년 10월 1일 ~ 1592년 12월 3일
배우자포르투갈의 마리아 공주 (1565년 결혼 / 1577년 사망)
자녀라누초 1세, 마르게리타, 오도아르도
아버지오타비오 파르네세
어머니파르마의 마르게리타
종교가톨릭
서명

스페인 제국의 장군, 귀족.

북해 연안의 네덜란드, 벨기에 같은 연안 저지대의 행정을 담당하는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의 총독이자 펠리페 2세의 이복누이(서녀)인 마르가레테와 교황 바오로 3세의 둘째 손자 파르마 공작 오타비오 파르네제[1]의 아들이다. 보통 본명보다는 작위인 파르마 공국 공작으로 더 많이 불린다.

레판토 해전에 참전한 경력이 있다. 또한, 펠리페 2세가 저지대의 독립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서 파병을 했을 때 지휘관이자 저지대의 총독으로서 구교 신자의 수가 더 많고, 부유했던 남부의 벨기에 지역을 전투와 회유를 통해 다시 되찾았다.[2] 그 후에 계속 벨기에에 주둔해 있다가 스페인의 잉글랜드 침공 작전 당시 브리트느 섬 본토에 상륙하기 위해 칼레에서 아르마다가 도착하여 함대에 합류하길 기다렸지만 아르마다가 칼레에 오기도 전에 개발살이 나는지라 그대로 손가락 빨고 벨기에에 주둔해야했다.

그 뒤에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화려한 공로를 세웠지만 프랑스 국왕 앙리 4세에게 루앙 전투에서 패하면서 중상까지 입은 채로 쓸쓸하게 귀국해야 했고 그를 시기하던 궁정은 그의 직책이던 네덜란드령 총독에서 해임했다. 절망과 슬픔에 빠진 그는 그해 1592년 12월 2일 지방 수도원에서 한창 나이로 부상이 악화되어 숨을 거뒀다.

[1] 추기경 알레산드로 파르네제의 동생. 당대 일류의 화가 티치아노가 그린 교황 바오로 3세와 이들 형제의 초상이 남아있다.[2] 하지만 그 전의 병사들에게 펠리페 2세가 임금체불을 했었고, 악이 받친 스페인 군대는 안트베르펜을 약탈했었는데 이 때부터 저지대의 경제 주도권이 북쪽의 네덜란드 공화국으로 넘어가고 암스테르담이 중심지로 급부상했다. 이런 연유로 인해서 17세기의 네덜란드를 황금의 17세기라고 부르지만 그 놈의 튤립 사재기 광풍이 불어닥쳤고 거품이 터지면서 네덜란드는 비실비실 거리다가 영국의 항해조례 이후의 영란 전쟁으로 결정적 크리를 먹게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프랑스 혁명 당시 돈이 모자란 국민 공회가 네덜란드의 은행을 털자는 목적하에 불란 전쟁이 벌어졌고 이 때 어이없는 실책을 저지르면서 프랑스의 속국 정도로 몰락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문서의 r6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문서의 r6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1 00:01:13에 나무위키 알레산드로 파르네세(154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